‘13구 견제’ 논란, 껄껄 웃은 염경엽 “우리가 받아도 짜증났을 것… 두산이 그만큼 압박감을 줬다”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337 조회
- 목록
본문
![]() |
염경엽 LG 감독이 더그아웃에서 환한 표정으로 경기를 지켜보고 있다. 사진=뉴시스 |
“나쁘게 받아들이지 않았으면 좋겠다.
”
지난 26일 벌어진 두산과 LG의 잠실 라이벌 빅뱅, 경기 결과(4-3 LG 승)보다 8회말 두산 대주자 조수행에게 쏟아진 13번의 견제구가 화젯거리다.
LG 불펜 김진성이 두 타자를 상대하는 동안 총 13번이나 1루를 향해 공을 던지면서 그라운드 분위기가 묘해졌던 것. 견제 소나기 속에서도 조수행이 도루를 성공시켰으나 득점으로는 이어지지 않았다.
해프닝으로 끝나는 듯했지만, 논란은 불가피했다.
온라인 상으로 양 팀 팬들의 갑론을박이 이어졌을 정도였다.
27일 시리즈 마지막 경기를 앞두고도 그 이슈에 다시 불이 붙었다.
조성환 두산 감독 대행은 “솔직히 안 좋게 봤다.
조금 과하지 않나 싶었다.
당하는 입장에서 기분이 좋지만은 않았다”며 공개적으로 불편한 감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취재진 앞에 선 염경엽 LG 감독도 당연히 입을 열었다.
염 감독은 “한 점이 정말 중요한 상황에서, 조수행이 나오면 다른 주자보다 훨씬 도루 확률이 높다.
2루를 안 보내는 게 첫 목표였다”며 “박경완 배터리 코치 사인과 선수 본인 선택이 섞였던 상황이다.
코치 입장에서도 어떻게든 묶어야 하지 않았겠나. 결과적으로 도루는 내줬지만, (포수) 송구만 뜨지 않고 제대로 갔다면 승부도 해볼만 했다.
조금이라도 묶어뒀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라고 당시를 돌아봤다.
![]() |
두산 조수행이 26일 잠실 LG전에서 대주자로 나서 상대 견제에 1루로 귀루하고 있다. 사진=두산베어스 제공 |
조심스럽게 상대에 대한 이야기도 꺼냈다.
염 감독은 “상대 입장에서 짜증나는 상황이라는 건 충분히 이해한다.
반대로 우리가 받았어도 짜증났을 거다.
(두산이) 좋게 받아들이시면 좋을 것 같다.
그만큼 우리에게 압박감을 줬다는 뜻이다.
두산이 잘한 거다.
그래서 13개나 견제구를 던졌다.
견제 많이 한 우리나, 그걸 뚫고 성공한 상대나 둘 다 잘했다고 본다”고 운을 뗐다.
이어 “누구보다 뛰는 야구를 한 게 나다.
(많은 견제구는) 지난 3년간 정말 많이 겪었던 일이다.
나는 우리가 그만큼 상대에게 압박감을 주고, 투수가 타자와의 승부에 온전히 집중 못하게 했다고 좋게 받아들이려고 한다.
(김)진성이도 타자한테 집중 못하고 1루 주자에 신경 쓴 것 아닌가. 상대팀에 이득인 상황이라 본다.
결과적으로 도루도 성공해서 통쾌한 게 있지 않았을까. (감독) 선배로서 말하자면, 그렇게 받아들이면 감독으로서 스트레스가 덜하지 않을까 싶다.
나쁘게 받아들이지 않으셨으면 좋겠다”고 껄껄 웃었다.
해프닝이지만, 향후 견제 제한 규정에 대한 생각도 밝혔다.
피치클록을 먼저 도입한 미국 메이저리그는 3번째 견제로 주자를 잡지 못하면, 주자에게 2루 자동 진루권을 부여한다.
무분별한 견제로 경기 시간이 늘어나는 걸 막기 위함이다.
같은 스피드업을 이유로 KBO도 피치클록을 도입했지만, 견제 제한 규정은 장고 끝에 넣지 않았다.
염 감독은 “우리도 제한 생기면 좋다고 본다.
우리 입장에서는 우리가 견제 훨씬 많이 받으니까. 어쨌든 스피드업을 위해서는 제한이 있는 게 맞다.
미국과 꼭 같을 필요 없이, 1개 정도 더 여유를 줘도 된다.
그러면 훨씬 시간이 단축 될 것”이라며 “골든글러브 시상식에 있을 감독 회의에서 얘기가 나오지 않을까 싶다.
KBO와 소통해서 잘 만들어가면 좋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스포츠월드(www.sportsworldi.com)에 있으며, 토토힐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