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두의 K리그 외국인 쿼터제… 확대에 공감, 뒷받침 돼야할 과제들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17586218349585.jpg
한국프로축구연맹은 23일 한양대 경영관에서 2025 K리그 주요 현안 공청회를 열고 K리그 외국인 선수 쿼터제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17586218356507.jpg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17586218364899.jpg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17586218393341.jpg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프로축구 K리그에 외국인 선수가 늘어나면 경쟁력이 올라갈까. 일단 축구 전문가들은 외국인 쿼터 확대에는 공감을 표시했다.
하지만 그 안에는 해결해야 할 복잡한 난제들이 있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23일 한양대 경영관에서 2025 K리그 주요 현안 공청회를 열고 K리그 외국인 선수 쿼터제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현재 K리그에서는 팀당 외국인 선수 보유 6명, 출전 4명이 가능하다.

외국인 선수 쿼터제는 K리그의 중요한 화두다.
K리그의 국제경쟁력과 연결돼 있다.
최근 K리그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ACL) 등 국제무대에서 과거와 달리 경쟁력이 떨어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 이유 중 하나가 외국인 쿼터제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최근 신태용 울산 HD 감독이 아시아 무대에서 경쟁력 강화를 위해 “ACL에서는 외국인 출전 제한을 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 아시아 여러 리그에서는 외국인 보유 제한을 푸는 추세다.
일본과 아랍에미리트(UAE) 보유 5명, 출전 무제한, 카타르는 10명 보유에 5명 출전이다.
사우디는 21세 이하(U-21) 외국인 2명을 포함해 8명 보유, 8명 출전이다.
최근 이들 국가가 AcL에서 상위권에 오른 배경이기도 하다.

참가자들도 쿼터 확대에는 공감했다.
유성한 FC서울 단장은 “외국인 쿼터와 출전 수는 어느 정도 맞춰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최순호 수원FC 단장 역시 “ACL과 K리그의 경쟁력에 당연히 도움이 될 것”이라며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게 가야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구창용 제주SK FC 대표이사는 “내년에는 외국인 골키퍼가 허용된다.
외국인 6명 보유에서 출전 수를 5명이나 6명으로 확대하는 걸 검토하면 어떨까”라고 전했다.

뒷받침돼야 할 조건도 있다.
최순호 단장은 “규모가 작은 구단이 대응하려면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
홈그로운 제도나 2군 제도를 필수로 해서 경쟁할 수 있는 구단을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다른 의견들도 나왔다.
김재성 연맹 TSG위원은 “외국인 쿼터를 늘린다고만 해서 리그 수준이나 경쟁력이 올라간다고 생각하진 않는다.
감독의 역할, 매니지먼트, 구단의 스카우트 시스템 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외국인 선수가 많아지면 감독의 철학도 중요해질 것이다.
유능한 감독을 선임하는 게 더 중요해질 것”이라고 했다.

선수 출신으로 참석한 김보경(FC안양)은 외국인 선수들의 기여도가 높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보유 수가 많고 적고는 중요한 것 같지는 않은 것 같다”고 했다.
다만 “출전 수는 중요하다.
뛸 수 있는 국내 선수가 줄어들게 되고 국가대표나 리그에서의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고 했다.
외국인 출전 수를 잘 조율해야 한다는 의미다.

유성한 단장은 스카우트 시스템을 강화해 뛰어난 외국인 선수 영입을 위해서도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유 단장은 “유럽의 스카우트는 주요 국가에 상주하면서 선수 성장을 계속 보고 있다”며 “가장 선행돼야 하는 건 하는 건 스카우트 시스템 선진화”라고 전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
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