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인 은퇴 나이 23.6세... 은퇴 후 10명 중 4명 무직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246 조회
- 목록
본문
[스포츠서울 | 이상배 전문기자] 더불어민주당 조계원 의원(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이 대한체육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운동선수의 평균 은퇴 나이가 23.6세로 사회 초년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체육회 ‘은퇴 후 진로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선수 경력자(은퇴선수)가 7521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은퇴 후 스포츠 관련 분야로 전직하는 비율은 38.4%로,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을 뿐 아니라 무직 상태 비율 역시 38.19%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도 진로지원센터 취업 관련 상담 건수는 4015건으로 나타났지만, 실태조사에 따르면 진로지원센터 이용률은 25.21%에 그쳤다.
미참여 사유로는 ‘어떻게 참여하는지 몰라서’가 1위(64.41%)로 나타났다.
조 의원은 “체육인들은 이른 나이에 은퇴를 맞지만, 은퇴 이후의 삶에 대한 제도적 지원은 여전히 걸음마 수준”이라며, “평균 23세에 선수 생활을 마감한 청년들이, 10명 중 4명이 무직 상태로 남는 현실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가 외면한 구조적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조 의원은 “진로지원센터의 홍보 부족의 문제는 아닌지, 은퇴선수들의 관심사가 충분히 반영된 맞춤형 프로그램이 맞는지 점검했어야 했다”라며 “은퇴선수들이 실질적으로 참여하고 체감할 수 있는 교육·취업 연계 시스템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이러한 상황에서 여성 은퇴 선수들은 재취업 시 출산, 육아 문제와 체육계 내 성차별 문화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어, 이에 대한 여성 체육인 특화 복지 제도 도입 역시 시급하다”라고 촉구했다.
실태조사에 따르면 남성의 체육계열 취업 여부는 65.66%이지만 여성은 58.11%에 그쳤다.
대한체육회 자료에서도 여성 지도자(감독 및 코치)의 비율은 16.42%에 그치는 등 사실상 체육 지도자의 성별 편중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이후에도 월평균 소득 300만원 미만을 받는 남성은 74.1%이지만 여성은 85.13%으로 성별 임금 격차 문제 역시 드러났다.
여성 체육인에 대한 성차별적 환경은 곧 여성 인재의 성장을 가로막는 유리 천장으로 이어진다.
조 의원은 “2024년 파리올림픽은 출전 선수 성비가 50대 50였던 사상 첫 올림픽으로 체육계 성평등 문화가 확산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대한체육회의 여성 임원 비율이 5년째 30%를 넘지 못하는 등 체육계 유리천장은 여전히 실존한다”라며, “경력 단절 예방과 재취업을 지원하는 별도의 여성체육인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2024년 선수 경력자(은퇴선수) 진로실태조사 결과보고서는 선수 경력자(은퇴선수) 중 약 10%를 표본 조사했으며. 선수 경력자(은퇴선수) 기준은 2023년도 선수등록을 하지 않은 자로, 선수등록 3회 이상 (2020~2022)한 경력을 가지고 있는 20세부터 40세까지의 은퇴선수 대상이다.
[email protected]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스포츠서울(www.sportsseoul.com)에 있으며, 토토힐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