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0 즐기는 스포츠 '클라이밍' 추락사고 급증…안전수칙 준수해야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399 조회
- 목록
본문
한국소비자원은 최근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실내 인공 암벽 등반(스포츠클라이밍)에서 이용자들이 안전 수칙을 지키지 않아 추락 등의 사고가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다며 소비자의 주의를 당부했다.

22일 소비자원에 따르면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인공 암벽 등반 관련 안전사고는 총 202건으로, 연간 사고 발생 건수는 2023년 35건에서 지난해 124건으로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확인된 안전사고 183건을 분석한 결과 '20대'가 50.8%(93건)로 가장 많았고, '30대' 18.6%(34건), '10세 미만' 15.3%(28건) 등의 순이었다.
특히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강습이나 키즈카페 등 놀이시설 내 클라이밍 체험 공간이 증가하면서 10세 미만에서 사고 발생률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사고 원인은 '추락'이 169건(83.7%)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주로 안전하지 않은 하강 방법과 부적절한 착지자세로 인한 부상이 많았다.
실내 인공 암벽장 대부분은 줄 없이 맨몸으로 암벽을 오르는 '볼더링' 방식으로 운영된다.
별도 장비가 필요 없어 진입 장벽이 낮은 스포츠로 인식되지만 바닥 매트에 의지해 방심하기 쉽고, 추락 시 충격이 신체에 직접 전달돼 큰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소비자원은 설명했다.
주요 위해부위를 분석한 결과, '둔부·다리·발'(40.6%, 82건)이 가장 많았고, '팔·손'(20.8%, 42건)이 뒤를 이었다.
이는 착지 과정에서 발목 등이 손상되거나 반사적으로 손을 짚으며 손목, 팔꿈치 등을 다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증상별로는 '타박상'이 30.7%(62건)로 가장 많았으나 '골절'(17.8%, 36건)이나 '탈구'(17.3%, 35건) 등 중상을 입은 경우도 적지 않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소비자원은 "실내 인공 암벽 등반은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고 누구나 쉽게 도전할 수 있는 운동이지만, 올바른 착지에 실패하거나 안전 수칙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중대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실내 인공 암벽 등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초보자는 반드시 전문 강사의 지도를 받은 후 이용할 것 ▲부상 방지를 위해 등반 전 충분히 준비운동을 할 것 ▲완등 후에는 홀드(손잡이)를 잡고 천천히 내려올 것 ▲착지할 때는 양발로 충격을 분산시킨 뒤 무릎을 굽혀 착지할 것 등을 당부했다.
김흥순 기자 [email protected]
▶ 2026년 사주·운세·토정비결·궁합 확인!
▶ 하루 3분, 퀴즈 풀고 시사 만렙 달성하기! ▶ 속보·시세 한눈에, 실시간 투자 인사이트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