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몽 같던 독수리의 잠실 원정… 이틀간 투수교체만 14번, 지친 마운드에 켜진 비상등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94 조회
- 목록
본문
| |
| 한화 선수단이 지난 27일 서울 잠실야구장에서 열린 LG와의 2025 KBO리그 한국시리즈 2차전에서 5-13으로 완패하고 팬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사진=한화이글스 제공 |
쌍둥이의 융단폭격, 독수리의 허리가 휘어진다.
2025년 KBO리그 한국시리즈(KS·7전4선승제)가 일방적인 흐름으로 전개된다.
정규시즌 1위 LG가 안방 1~2차전을 모두 완승으로 물들였다.
한화는 고개를 푹 숙였다.
19년 만의 KS에서 4전 전패 굴욕을 걱정해야 한다.
역대 KS에서 첫 2경기를 내주고 역전 우승에 성공한 확률은 단 9.5%(2/21)다.
2007년 SK(현 SSG)가 두산을 상대로 2연패 후 4연승을, 2013년 삼성이 두산에 ‘패패승패승승승’을 기록한 게 전부다.
분위기는 암울할 수밖에 없다.
흔히 말하는 ‘졌지만 잘 싸웠다’도 아니다.
타오르는 LG 타선에 마운드가 붕괴됐다.
이틀간 내준 점수만 21점이다.
18피안타, 3피홈런, 13사사구가 쏟아졌다.
산산조각 난 방패로는 도저히 흐름을 바꿀 수 없었다.
선발 문동주·류현진의 신구 토종 에이스 듀오가 각각 4⅓이닝 4실점, 3이닝 7실점으로 무너진 게 1차 요인이다.
여기에 ‘플랜B’가 돼줘야 할 불펜도 휘청였다.
1차전 8명, 2차전 6명의 불펜진이 총동원됐으나 누구 하나 제 몫을 한 선수는 없었다.
김경문 한화 감독이 의도적으로 잘게 이닝을 쪼갠 것도 있지만, 만족스러운 구위가 나오지 않아 울며 겨자 먹기로 투수를 바꾼 것도 부지기수였다.
| |
| 한화 김범수가 지난 27일 서울 잠실야구장에서 열린 LG와의 2025 KBO리그 한국시리즈 2차전에 등판해 역투하고 있다. 사진=한화이글스 제공 |
| |
| 한화 정우주(왼쪽)가 지난 27일 서울 잠실야구장에서 열린 LG와의 2025 KBO리그 한국시리즈 2차전에 등판해 LG 문보경에게 쐐기 투런포를 맞고 아쉬워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결국 한화 불펜은 두 경기 8⅔이닝 10실점의 초라한 숫자를 제출했다.
페넌트레이스 불펜 평균자책점 2위(3.63)의 위상은 온데간데없이 사라진 셈이다.
매번 선발이 호투하는 시나리오만 바랄 수 없다.
불의의 위기를 극복할 힘이 전무했다.
허무한 2연패는 어쩌면 당연한 수순이었다.
LG와의 뚜렷한 대조도 한화의 무기력함을 몇 배로 키운다.
LG 불펜은 1차전 3이닝 무실점에 이어 2차전에는 부진한 임찬규(3⅓이닝 5실점)의 뒤로 5⅔이닝 무실점을 빚었다.
꿈틀대려는 한화 분위기에 끼얹은 확실한 찬물이었다.
단기전을 맞아 선발에서 불펜으로 보직을 전환한 송승기의 3이닝 퍼펙트 행진, 베테랑 김진성의 KS 최고령 승리(40세 7개월 20일) 등 호재가 한가득이다.
고민에 빠진 한화다.
김경문 감독은 “KS다운 스코어, 박진감 있는 점수가 나와야 하는데 투수 쪽에서 생각보다 많은 점수를 줬다.
연이틀 팬들에게 죄송하다”며 고개를 떨궜다.
추워진 날씨도 변명은 되지 않는다.
양 팀 모두 똑같은 마운드를 밟는다.
“추위 때문은 아니다.
홈으로 돌아가는 만큼, 반격 기회를 갖도록 하겠다”는 다짐밖에 내밀 게 없는 상황이다.
짙어지는 패색, 기적이 필요한 한화는 ‘외인 원투펀치’에 마지막 희망을 건다.
시즌 17승(1패), 평균자책점 1.89, 252탈삼진 등으로 외인 최초 투수 4관왕(다승·평균자책점·탈삼진·승률)에 빛난 코디 폰세가 드디어 3차전에 출격한다.
그 뒤로 다승 3위(16승), 평균자책점 6위(2.87), 탈삼진 4위(207개)로 힘을 더한 라이언 와이스가 대기한다.
뜨거운 LG 방망이를 잠재우고 불펜 부하를 줄여야 하는 난제를 안았다.
| |
| 김경문 한화 감독이 지난 27일 서울 잠실야구장에서 열린 LG와의 2025 KBO리그 한국시리즈 2차전을 무거운 표정으로 지켜보고 있다. 사진=뉴시스 |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스포츠월드(www.sportsworldi.com)에 있으며, 토토힐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