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알려진 것과 다르다’→‘벌칙 펑고’ 아니고, ‘강제’ 느낌도 아니다…안우진 부상의 ‘진실’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295 조회
- 목록
본문

[스포츠서울 | 박연준 기자] 알려진 것과 다른 내용이다.
키움 안우진(26)의 부상과 관련해 불거진 ‘벌칙 펑고’ 논란이 사실과 다른 것으로 확인됐다.
강제적인 훈련도, 징벌성 분위기도 없었다.
안우진의 부상은 ‘불운한 사고’라고 보는 것이 맞다.
안우진은 지난 2일 고양 국가대표야구훈련장에서 퓨처스팀과 함께 자체 청백전에 등판했다.
9월 소집 해제 후 1군 복귀를 위한 점검 차원에서 치러진 경기였다.
경기 후 이어진 훈련에서 상황이 발생했다.
안우진이 넘어지면서 오른쪽 어깨를 다쳤다.

문제가 된 훈련은 ‘벌칙 펑고’로 알려졌다.
청백전에서 진 팀이 ‘벌칙성’으로 추가 펑고 훈련을 받았다는 보도가 여러 차례 나왔다.
일부에서는 코치가 안우진에게 강제로 훈련을 시켰다는 주장까지 있을 정도.
스포츠서울 취재를 종합하면, 이는 사실과 달랐다.
키움 구단은 청백전 이전부터 이미 해당 훈련을 공식 프로그램으로 공지했다.
‘벌칙’이 아니라 민첩성을 위한 체력 훈련의 일환이었다.

명칭은 ‘개밥 훈련’이다.
좌우로 빠르게 움직이며 펑고를 받는 방식이다.
수비 훈련이라기 보다는, 여름철 체력 유지와 민첩성 향상을 위해 마련된 프로그램이다.
키움만 하는 게 아니다.
몇몇 구단도 같은 훈련을 활용 중이다.
쉽게 다칠 수 있는, ‘위험도’가 높은 훈련은 또 아니다.
안우진은 스파이크가 아닌 운동화를 신고 해당 훈련을 소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강제성’ 역시 근거가 약하다.
안우진이 훈련을 거부했는데도 코치가 억지로 시켰다는 주장이 제기됐는데, 당시 현장 분위기는 오히려 정반대였다.
청백전 이틀 전인 지난달 31일 키움은 고척에서 SSG와 퓨처스리그 경기를 치렀다.
총 7명의 투수가 등판했다.
경기를 치른 지 얼마 되지 않았다.
통상이라면 2일 회복 훈련에 집중하는 것이 맞다.
그러나 안우진의 실전 점검을 위해 청백전이 진행됐다.
선수들은 피로를 안고 경기에 임했다.
청백전 자체가 ‘안우진을 위해’ 열린 느낌이 강하다.

야구는 팀 스포츠다.
안우진 등판을 위해 팀 전체가 움직였다.
예고된 펑고 훈련에서 안우진이 빠지는 그림이 오히려 더 이상하다.
그 과정에서 일어난 사고가 마치 구조적 문제처럼 비화한 것은 사실관계와 거리가 있다.
특정인에게 책임을 묻기보다, 팀 전체가 함께 겪은 ‘불운’으로 보는 게 더 합리적이다.
‘침묵 강요’ 의혹도 있다.
부상 직후 구단이 선수들에게 “부상 사실을 외부에 알리지 말라”는 압박을 했다는 얘기도 들린다.
이 역시 과장된 부분이 있다.
실제로는 단체 집합 상황이 아닌 일부 선수들 사이에서 “일이 커지면 어쩌지”라는 우려가 오간 수준이었다.

안우진에게 뼈아픈 것은 사실이다.
올시즌 복귀는 물론 내년 3월 열리는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합류도 무산됐다.
당연히 메이저리그(ML) 진출 시기 역시 미뤄질 전망이다.
그러나 잘못된 정보가 ‘괴담’ 수준으로 돈다.
안우진과 구단이 ‘벌칙’과 ‘강제’라는 프레임에 갇히는 것은 부당해 보인다.
[email protected]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스포츠서울(www.sportsseoul.com)에 있으며, 토토힐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